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프로젝트헤일메리
- 마연굴
- neovim
- 런데이
- 이코노미스트한국구독센터
- 루스틱
- lner
- 마법의연금굴리기
- kafka-connect
- 달리기
- 잘쉬어야지
- 일권하는사회
- 플라스틱은 어떻게 브랜드의 무기가 되는가
- 강릉여행
- 송고버섯피자
- 저동하녹
- 여니브레드
- 트럼프2.0시대
- apollo-server-v3
- schema-registry
- Zone2
- 런데이애플워치
- 가람집옹심이
- 오운완
- apollo-sandbox
- 여행
- deepseek
- 중사랑
- 티지아이포럼
- 한국걱정
- Today
- Total
해뜨기전에자자

책 제목: 의학의 법칙들 The Laws of Medicine저자: 싯다르타 무케르지 현대 의학은 1930년대 이후에 발전하기 시작했다. 1930년대, 외과적으로 충수절제술이나 괴저가 생긴 팔다리의 절단술 등 괄목할만한 업적을 내놓고 있었지만 거의 모든 내과적 치료는 3P, 즉 위약(회춘제, 원기회복제), 완화요법(모르핀, 알코올, 아편, 습포제, 향유), 파이프 뚫기(설사약, 완하제, 구토제, 관장) 중 하나였다. 병에 걸리면 회춘제나 원기회복제라 불리는 위약을 주며 나을 거라고 말을 해주거나, 정말 아픈 고통의 경우에는 진통제를 놔주거나, 변비같이 뭔가 막히면 파이프 뚫기를 행해버리는 매우 원시적인 수준의 치료법만이 행해졌던 것이다. 내과의 발전이라는 것이 실질적으로 일어났다고 말할 만한 시기는 2..
요약 kubernetes pod requests.cpu와 limits.cpu가 사용하는 docker의 설정이 다르다. cpu limit을 치는 상황에는 app container의 cpu가 throttle되어 requested는 보장하나, 실제 퍼포먼스가 저하될 수 있다. 서비스의 퍼포먼스가 영향받지 않으려면 liveness health check를 쓰는 것을 권고한다. pod의 request/limit of cpu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configuration/manage-compute-resources-container/#how-pods-with-resource-limits-are-run CPU 리소스는 절대적인 수치. CPU 리소스 0.1이라는 수치는 s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