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달리기
- 런데이
- 플라스틱은 어떻게 브랜드의 무기가 되는가
- 트럼프2.0시대
- deepseek
- 가람집옹심이
- apollo-sandbox
- 한국걱정
- Zone2
- 잘쉬어야지
- 오운완
- 이코노미스트한국구독센터
- parquet
- 송고버섯피자
- schema-registry
- 런데이애플워치
- 여행
- 마연굴
- 저동하녹
- 루스틱
- kafka-connect
- 마법의연금굴리기
- 일권하는사회
- 중사랑
- sparksql
- neovim
- apollo-server-v3
- 티지아이포럼
- 여니브레드
- 강릉여행
- Today
- Total
목록개발 (36)
해뜨기전에자자
임의로 98765 포트에 proxy용 ssh server을 띄운다. /etc/ssh/sshd_config Port 22Port 98765GatewayPorts yesPermitTunnel yesAllowTcpForwarding yes 재시작sudo service sshd restart local machine:~/.ssh/configHost ssh-proxy-server User {username} GSSAPIAuthentication yes StrictHostKeyChecking noHost !ssh-proxy-server * User {username} StrictHostKeyChecking no GSSAPIAuthentication yes ForwardAgent yes ProxyCommand ssh..
kafka version 0.10.1.1 to 0.11.0.2 upgrade zk는 consume이 잘 되는데, kf 기반 consume은 잘 안 됨.. kafka consume is not working while zk consume works well. 현상:zookeeper workingbin/kafka-console-consumer.sh --zookeeper $(hostname -f):2181 --topic testkafka coordinator not workingbin/kafka-console-consumer.sh --bootstrap-server $(hostname -f):9092 --topic testlogs/server.log[2018-03-20 21:37:18,827] ERROR [Ka..
갑자기 한영키 전환이 마음대로 안되고 반응이 느리기도 하고 갑자기 바뀌기도 해서 당황스럽기도 하고 짜증이 났다 찾아보니까 아래 링크 참고해서 siri 키보드 단축키를 변경하니까 괜찮아짐 =ㅅ= http://macnews.tistory.com/4609
읽는 중 3장 introduce assertion 코드 안에서 성립해야할 조건이라면 주석 대신 assert를 쓴다.. java -ea/-esa 로 활성 -da/-dsa로 비활성화. -da를 해도 바이트코드는 남아있어서, unreachable statement써서 삭제해야함. 메모리를 절약해야하는 제한된 환경이나 클래스 파일 크기가 성능에 큰영향을 줄 때.. 라는데 별로 신경안써도 될 듯 assert expression: option; == if (!expr) throw new AssrtionError(option); ex private void updateAll() { // 메서드를 호출한 스레드는 _lock 객체락을 취득해야만 함. 즉 syncrhonized(_lock) {} 내부에서만 호출할것! //..
standalone cluster with standby masters 구성참고: https://spark.apache.org/docs/2.3.0/spark-standalone.htmlbriefly.. standby master구성을 위해 zookeeper를 이용함standalone는 걍 하둡은 접근가능하지만 kerberized hdfs 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있지 않음. ㅜㅜ # 준비environment:- centos 7.4- java 8- ssh key setting- zookeeper for HA- serversspark-master01spark-master02spark-slave01spark-slave02spark-slave03 # 설정master01 에서 설정을 모두 마친다음 master0..
useradd is native binary compiled with the system. But, adduser is a perl script which uses useradd binary in back-end.adduser is more user friendly and interactive than its back-end useradd. There's no difference in features provided. 제공하는 기능은 같은데 useradd는 system에 원래 있는거고, adduser는 설치해서 씀. 근데 adduser 가 쓰기 더 편해서 쓴다.ref: https://askubuntu.com/questions/611954/when-to-use-adduser-or-useradd